본문 바로가기
통합검색 레이어 검색 창

광역도시계획 개요

인접한 2이상의 특별시/광역시/시 또는 군의 행정구역에 대하여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거나 시/군 기능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적정한 성장관리를 도모 20년 단위의 지침적인 장기계획으로 도시계획체계상 최상위 계획 (도시·군기본계획, 도시·군관리계획 등 하위계획에 대한 지침이 됨)

계획의 주요내용

  • 계획의 목표와 전략
  • 광역도시권의 현황 및 특성
  • 공간구조 구상
    • 여건변화 및 전망분석
    • 주요지표 제시
    • 공간구조의 골격구상 : 개발축(성장축), 교통축, 녹지축 설정
    • 생활권의 설정
  • 부문별 계획
    • 기능분담계획 및 토지이용계획
    • 교통 및 물류유통체계
    • 문화 · 여가공간계획
    • 광역시설계획
    • 녹지관리계획
    • 경관계획
    • 환경보전계획
    • 방재계획
  • 개발제한구역의 조정
  • 집행 및 관리계획

계획수립절차

  • 기초조사
    (시장·군수)
  • 광역도시계획안 수립
    (시장·군수)
  • 공청회 개최
    (시장·군수)
  • 지방의회 의견청취
    (시장·군수)
  • 시·군 도시계획 위원회 자문
    (시장·군수)
  • 승인신청
    (시장·군수)
  • 관계 행정기관 협의
    (도지사)
  • 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
    (도지사)
  • 승인
    (도지사)
  • 주민공람
    (시장·군수)

광역계획권 현황

청주권, 수도권, 부산권, 대구권, 광주권, 대전권, 창원권, 광영만권, 전주권, 전남서남권, 제주권, 내포신도시권, 행정중심복합도시권(13개 권역)

담당자 정보

  • 담당자 정보균형발전과 / 043-220-4136
페이지 상단으로 이동